You are here

연구계획서에서 리뷰어는 무엇을 중요하게 볼까?

민디 레빈 | 2025년5월22일 | 조회수 553
연구계획서에서 리뷰어는 무엇을 중요하게 볼까?

연구계획서 작성은 어려운 과정입니다. 계획서를 무사히 제출할 때까지 상당한 시간과 자원, 에너지가 들어가죠. 계획서의 기술적인 부분은 물론, 계획서의 모든 부분이 서식 지침과 요건을 따르고 있는지, 예산과 그 근거는 제대로 작성되었는지, 첨부된 그림들은 시선을 끄는지, 잘 디자인되었는지, 올바른 자리에 들어가 있는지, 연구자 약력이 적절한 형식으로 첨부되어 있으며 계획서 내용과 잘 연결되는지 등 확인해야 할 부분이 아주 많죠. 

안타깝지만 연구자들이 계획서 작성과 제출에 이렇게나 큰 노력과 에너지를 쏟아부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계획서는 거절당합니다. 통과 확률은 사례별로 크게 차이 나는데요. 2018년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암연구소(NCI)의 경우 계획서가 통과된 비율은 11%에 불과했으며, 역시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기관인 미국 국립중개과학진흥센터(NCATS)의 가장 높았던 2018년 계획서 통과율은 35%였습니다.1 즉, 최상의 시나리오에서도 연구계획서를 작성한 10명 중 6명 이상의 연구자는 거절당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지원금을 성공적으로 받을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이 몇 가지 있습니다. 그중 몇 가지를 설명해 드리려 합니다. 

저는 화학 교수이며, 지원금과 관련한 대부분의 지식은 물리학 부문에서 연구계획서를 작성하고 또 이를 평가한 경험을 바탕으로 합니다. 저 역시 수많은 연구계획서를 거절당했으며, 다행히도 몇몇은 통과되어 자금을 지원 받았습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정보는 제 개인적인 경험과 인터넷 조사, 동료들과의 대화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1. 디자인과 일러스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세요. 
    연구계획서를 작성할 때, 지침에 따른 페이지 제한으로 불편할 때가 많죠. 이런 생각이 들 겁니다. ‘아니, 이렇게 연구 내용도 좋고 아이디어도 넘쳐 나는데! 이렇게 제한적이라니, 너무 답답하네.’ 이런 생각이 한번 들기 시작하면 매 페이지의 여백이 아주 소중하게 느껴집니다. 어떻게 하면 페이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단어를 최대한 욱여넣는 건 해결책이 아닙니다. 일러스트를 전략적으로, 주의 깊게 사용해야 하죠. 
     
    일러스트는 계획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계획서에 상당한 가치를 더해줄 수 있고, 줄줄이 이어지는 텍스트로부터 리뷰어의 눈을 해방시켜 줄 수 있기 때문이죠. 일러스트는 글자로만 전달할 수 없는 내용을 계획서에 넣을 때 활용해야 합니다. 글자로 설명한 내용을 일러스트로 반복하는 건 귀한 공간을 낭비하는 셈입니다. 더불어, 일러스트에 삽입된 글자는 읽기 쉬워야 합니다. 다른 프로그램에서 만든 그림을 계획서 파일에 저화질로 삽입하면서 글자가 읽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왕왕 발생합니다. 계획서에 삽입한 일러스트에서도 글자가 잘 보이는지 확인하세요. 
     

  1. 원어민에게 계획서 교정을 받으세요. 
    외국어에 능숙하다 하더라도, 문장 구조나 미묘한 뉘앙스에서 실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언어를 구사하는 원어민에게 계획서를 검토받으세요. 교정을 부탁할 사람이 주위에 없다면 인터넷의 방대한 자원을 활용해 원어민을 찾아 교정을 부탁할 수도 있겠죠. 계획서에 언어적 오류가 있다면 리뷰어가 불쾌함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1. 목표 페이지를 활용하세요. 
    모든 계획서에 목표 페이지가 있는 건 아니나, 계획서와 계획서에서 제안하고 있는 연구의 전반적인 목표를 요약하는 요약문/페이지/섹션이 포함된 계획서도 많습니다. 리뷰어가 계획서 전체를 읽지 않고 목표 페이지만 읽을 가능성도 있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해당 페이지는 계획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전달해야 합니다.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그래픽을 활용해 연구의 핵심 강조하는 것도 좋습니다. 
     

  1. 명확하고 간결한 표현과 문장을 사용하세요. 
    복잡한 단어를 사용하거나 길고 어려운 문장을 썼다고 해서 점수를 더 받는 건 아닙니다. 굳이 말을 어렵게 쓸 필요는 없죠. 명확하고 간결하게 표현하세요. 문장이 너무 길다고 느껴지면 두 문장으로 나누세요. 여러분이 속한 분야 밖의 비전문가에게 계획서를 읽어 보게 하고, 가독성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1. 구체적으로 작성하세요. 
    “암을 치료하겠습니다.”라고 쓰면 누가 보조금을 줄까요? 추상적으로 적지 말고, 어떤 실험을 할 것이며, 이 실험이 여러분이 속한 분야에 어떤 발전을 불러올 것인지 구체적으로 기재하세요. 실험 자체를 너무 구체적으로 기술할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여러분이 이 연구 계획을 실행할 때 무엇이 필요할지 실제로 고민했다는 사실을 리뷰어가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는 구체적으로 기재해야 합니다. 
     

  1. 잠재적인 문제점과 접근 대안을 설명하세요. 
    연구를 진행하다 보면 늘 예상치 못한 문제에 부딪히죠. 계획서에도 잠재적으로 발생 가능한 문제를 언급하고 이를 해결할 대안을 제시하세요. 연구가 제대로 흘러가지 않을 경우 대처할 방안이 없다고 리뷰어가 우려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1. 타임라인을 제시하세요. 
    일정은 리뷰어에게 연구 계획의 실제 실행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타임라인은 연구자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이나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리는 부분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자로 나열하기보다는 그래픽을 활용해 시각적으로 보여주면 좋습니다. 
     

  1. 계획서를 반드시 종이로 프린트하여 검토하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2025년 현재, 계획서를 평가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전자기기를 통해 문서를 읽을 겁니다. 따라서 화면에서도 잘 읽히는 형식으로 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면에서도 잘 읽히려면 한 페이지를 너무 많은 칼럼(세로 열)으로 나누지 않고, 흰색 배경에 검은색 글씨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모든 지침을 준수했는지 확인, 또 확인하세요. 
    앞서 계획서 통과율이 적다고 말씀드렸죠. 리뷰어들은 기본적으로 연구계획서를 떨어뜨릴 이유를 찾습니다. 따라서 지침을 하나라도 어기면 탈락될 수 있습니다. 모든 지침을 따르고 있는지 확인하고, 더블 체크하고, 트리플 체크 하세요. 
     

  1. 커버레터에서 리뷰어를 지정하여 요청하세요. 
    계획서 리뷰어를 선택할 기회가 있다면 적극적으로 활용하세요. 미국 국립보건원의 경우 특정 연구 부문에 대해서는 리뷰어 지정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그 외의 경우에서도 커버레터를 통해 특정 리뷰어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리뷰어는 해당 분야에 어느 정도 익숙한 사람을 제안하세요. 
     

대부분의 계획서가 거절된다는 사실을 기억하시고, 연구계획서가 거절되었다고 해도 너무 낙담하지 마세요. 다른 자금 지원 기회도 있습니다. 재도전하면 됩니다. 계속 신청하고, 계속 시도하세요. 

참고 문헌 

  1. https://report.nih.gov/success_rates/Success_ByIC.cfm 

스크랩하기

해당 기사를 스크랩해보세요!

지식은 모두에게 함께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이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이념입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사는 Creative Commons license로 재포스팅 및 스크랩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가이드라인만 유념해주신다면 언제든지 무료로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의 지식을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 주의 :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들은 해당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 및 재포스팅 하실 때는 명확한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 재사용: 이미지를 원본이 아닌 편집 재사용하실 때는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코드를 복사하셔서 기사 공유를 원하시는 사이트에 적용하시면 에디티지 인사이트 기사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위 코드를 복사하시어 원하시는 곳에 다시 포스팅 하실 수 있습니다.

Comments

원고 거절 사유

연관된 카테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