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최신기사

에디티지 인사이트에 등록하시고 맞춤화된
저널 투고 지원 서비스
를 누려보세요.
Free
기사
By 스네하 쿨카니 | 2015년 01월 05일
주제 출판윤리, 투고 및 피어리뷰 | 조회수 34,428
평점: 0
피어 리뷰 조작: 저자들이 피어 리뷰어를 추천하는 관례는 계속되어야 할까
최근 <효소 억제 및 의료화학 저널(The Journal of Enzyme Inhibition and Medicinal Chemistry)> 그리고 <바이오메드 센트럴 (BioMed Central)> 저널의 저자들이 논문 출판을 위해 피어 리뷰 시스템을 조작한 사건이 발생해 피어 리뷰 조작이 과학출판계의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Free
기사
By 마리샤 폰세카 | 2015년 01월 02일
주제 논문구조 | 조회수 28,542
평점: 2
지난 20년간 실험심리학 보고에 있어 상당한 발전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특히 미국심리학회에서 발간한 <심리학 실험의 보도기준> 덕분
심리학 실험의 보고서 작성 시 빠뜨리거나 불완전하게 기술하는 경우가 많지만 매우 중요하고, 특히 실험의 재현 가능성을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들을 살펴보겠습니다.
Free
Q&A 포럼
By 에디티지 인사이트 | 2014년 12월 29일
주제 투고 및 피어리뷰 | 조회수 43,109
원고를 수정해서 다시 제출했는데, 제출 후에야 원고에 실수가 있다는 점을 알아차렸습니다. 한 문장을 다시 수정하고 싶습니다. 제 논문이 승인될지 여부는 알 수 없는데, 이 오류를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조언 부탁 드립니다.
Free
Q&A 포럼
By Anonymous | 2014년 12월 26일
주제 출판윤리 | 조회수 253,329
논문의 주저자(lead author)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요건을 갖추어야 하나요? 공동저자(co-author)란 무엇입니까? 이 두 가지 용어들이 정확히 어떤 뜻인지 알고 싶습니다.
Free
기사
By 야틴드라 요시 | 2014년 12월 24일
주제 책리뷰 | 조회수 40,610
평점: 0
연구자들을 위한 사전  추천
학자와 연구자들은 수준 높은 어휘를 구사합니다. 한 분야의 전문용어에 숙달하려면 수 년이 걸리지요. 하지만, 언어 사용의 문제에 있어 학자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어떤 분야의 특수한 용어가 아니라, 주제나 분야와 무관하게 학술 글쓰기 전반에서 널리 쓰이는 단어에서 옵니다.
Free
기사
By 에디티지 인사이트 | 2014년 12월 22일
주제 저널정보 | 조회수 125,832
평점: 2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BBRC): Quick fact and submission tips
BBRC는 생화학, 생물물리학, 세포생물학, 발생생물학, 면역학, 분자생물학, 신경생물학, 식물생물학, 단백체학 등 다양한 생물학 분야에서 시의 적절하고 중요도가 높은 실험 결과의 빠른 보급을 사명으로 하는 국제 저널입니다.
Free
Q&A 포럼
By 에디티지 인사이트 | 2014년 12월 19일
주제 투고 및 피어리뷰 | 조회수 91,676
SCI 저널에 논문을 투고했는데, 표절 검사에서 표절률이 19%로 나와 거절당했습니다. 이후 최대한 수정했는데, 저널의 표절 검사를 통과하기 위해서 어떤 부분을 더 수정해야 할까요?
Free
이벤트
By Mary Nishikawa | 2014년 12월 18일
주제 이벤트 | 조회수 20,308
평점: 1.7
윤리적인 데이터 수집, 고품질의 논문 집필, 철저한 리뷰
히로시마 대학교 대학원생들은 종일 개최된 <에디티지> 워크샵을 통해, 연구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를 논의하고, 논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활동에 참여하고, 리뷰를 철저히 수행하는 방법을 배우는 특별한 기회를 얻었습니다.
Free
기사
By 스네하 쿨카니 | 2014년 12월 12일
주제 국제학술트렌드 | 조회수 41,634
평점: 1.8
출판 후 피어 리뷰와 법적 분쟁, 과학자들은 공개적인 의견 표명을 삼가야 하나
일부 전문가들은 출판된 논문은 해당 분야의 모든 전문가들의 비판에 열려 있기 때문에 출판 후 피어 리뷰가 과학적 순수성을 보장하는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의심쩍은 연구 결과에 대해 공공연하게 의문을 제기한 연구자들은 법적 위협, 명예 훼손 소송에 휘말리기도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질문이 등장합니다. 명예훼손 법규가 과학에 어느 정도로... 자세히보기
Free
기사
By 야틴드라 요시 | 2014년 12월 10일
주제 스타일과 포맷팅 | 조회수 92,797
평점: 1
학술 논문에서 생물의 학명을 표기하는 4가지방법
과학에서 양화(집계 및 측정)는 무척 중요하고 연구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기에, 양적 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엄격한 법칙과 관습이 발전해 국제단위계(Le Système International d’Unités: SI)가 만들어졌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구체적이고 엄격한 것이 바로 생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보통 ‘명명법(... 자세히보기

Pages

에디티지 서비스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