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최신기사
Free
기사
2014년 07월 09일
의견 0
정부, 투자자, 대학들은 과학/기술분야 혁신을 일으키고자 연구비, 그리고 학계와 업계 간의 네트워킹을 증진시키기 시작했습니다.
Free
기사
2014년 07월 07일
오늘은 다른 형태의 지원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바로 기업의 연구 지원입니다. 최근에는 연구비 지원에 주도적인 기업들이 늘었습니다.
Free
기사
2014년 07월 04일
인도와 중국에서의 저널 투고는 급격히 증가했으며, 일본이 중국을 바짝 따라잡고 있는 지금,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역학이 변하고 있습니다.
Free
기사
2014년 07월 01일
학술저널에 투고되는 논문의 수가 날로 증가하면서 저널 에디터들과 심사위원들에게 이들의 가장 희소한 자원, 즉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는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있습니다.
Free
기사
2014년 06월 26일
연구논문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출처는 저널을 통해 발표된 다른 논문입니다. 그러나, 특히 인문학 분야에서는 단행본이 그 뒤를 바짝 따라붙게 됩니다. 과학 분야에서도 단행본이 주로 논문의 소재 및 방법론 항목에서 표준 과정과 테크닉에 관한 정보의 출처로 인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Free
기사
2014년 06월 23일
표를 더욱 돋보이게 만들어 데이터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몇 가지 방법들입니다.
Free
기사
2014년 06월 17일
논문 스타일에 일관성이 없거나 내용 제시방식이 부적절하면 가독성과 이해도가 떨어져 연구의 영향력을 감소시킵니다.
Free
Q&A 포럼
2014년 06월 16일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한 지 한 달 반이 흘렀습니다. 편집자의 답변을 받는 데 보통 얼마나 걸리는지, 언제쯤 확인을 요청하는 이메일을 보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만약 제가 확인 요청 이메일을 보낸다면 뭐라고 써야 적절하고, 또 편집자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Free
기사
2014년 06월 13일
연구논문은 오류와 실수 없는 모습으로 출간되기 위해 아주 길고 험한 피어 리뷰의 과정을 거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아차리지 못한 오류가 발견되는 일도 있지요. 출판 윤리 위원회 (COPE) 는 “신뢰가 갈 만한 논문의 일부에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경우 (특히 의도치 않은 오류인 경우)” 수정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Free
기사
2014년 06월 11일
학술적 글쓰기에서는 정확성, 간결성, 객관성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필자로서, 편집자로서, 우리는 감수성이 결여된 언어나 흠결 있는 용어에 파고드는 편견을 줄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