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논문 디펜스 성공기 – 의학박사 논문 통과에 이르기까지의 여정
이 글은 내과 의학박사(MD) 논문을 제출하기까지의 여정을 기록한 것입니다. 저는 방글라데시 치타공(Chittagong)에 있는 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이 대학은 2001년부터 의과 교육을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저는 2005년에 입학했습니다. 당시의 MD 과정은 초기 단계였기 때문에 교육 시스템과 인프라가 아직 완전히 정착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당시에는 MD 학위를 취득하는 데 보통 5년이 걸렸으며, 마지막 2년은 연구를 바탕으로 논문을 작성해 ...
출판 후 피어리뷰 – 출판을 넘어, 연구 진실성을 향해
연구 논문의 여정은 출판과 함께 끝나는 걸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새로운 단계, 출판 후 피어리뷰(post-publication peer review, PPPR)의 시작이죠. 이 단계에서는 더 넓은 연구 커뮤니티가 참여해 토론하고 추가 검토를 진행합니다. 전통적인 피어리뷰가 여전히 표준이기는 하나, 출판 후 피어리뷰는 여러 긍정적 평가와 함께 점점 더 인정받고 있습니다. 우선, 대개 피드백이 빠릅니다. 또한, 대체로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배경의 ...
AI가 하지 못하는 것 – 학술 출판에서 인간의 통찰력이 왜 중요한가
예상대로 AI는 놀라운 속도로 다양한 산업과 워크플로에 통합되고 있습니다. 학술 출판계도 예외는 아니죠. AI 기반 시스템은 단 몇 분 만에 연구 논문을 스캔하여 잠재적으로 의심스러운 데이터를 놀라운 정확도로 발견합니다. 다양한 요구 사항에 따라 맞춤형으로 시스템을 설계할 수도 있죠. 이렇듯 시스템의 효율성은 놀랍고 능력도 무한해 보입니다. 그런데 이것만으로도 충분한 걸까요? 단순히 연구 논문의 데이터 강건성(robustness)을 평가할 수 있는 것만 ...
논문은 오픈 액세스가 되어야 할까요? 학술 커뮤니티의 의견을 들어봤습니다
2024년 국제 오픈 액세스 주간(International Open Access Week)에 이루어진 논의 중 하나는,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이 오픈 액세스를 통해 대중에 널리 공유되고 있는 현황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지난 20년간 석사, 박사 학위 논문을 전자 출판하고 공개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왔습니다. 물론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지만, 책이나 음악처럼 출판된 여타 창작물과 달리 사용료는 없죠. 실제로 오픈 액세스와 비(非)오픈 액세스의 유일한 차이점 ...
타깃 저널 스타일에 맞춰 인용 및 참고문헌 포맷팅하는 법
한 저자가 거절된 자신의 논문과 함께 참고 문헌 스타일이 맞지 않다며 해당 논문을 바로 거절한 저널의 최신 호를 들고서 화가 나 찾아온 적이 있습니다. “ 여기 봐요! 둘 다 서식이 같잖아요!” 저자는 이렇게 말했지만, 저는 두 문서를 비교하며 저널의 경우 저자명 이니셜 사이를 온점과 스페이스를 이용해 구분하지만(Crick F. H. C.) 해당 논문의 경우 공백이 없으며(Crick FHC), 저널의 경우 각 참고문헌의 끝에 온점이 있지만 논문에는 없다 ...
하이임팩트 저널에 논문 게재하기 위한 팁
솔직히, 학문적 여정을 시작하면서 하이임팩트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것을 꿈꾸지 않았나요? 못 할 것 없죠! 연구가 주목을 얻을 때 받는 인정과 존경은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을 겁니다. 하지만 이 여정에는 전략과 노력, 인내가 필요합니다. 하이임팩트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지 알아봅니다. 1. 적합한 저널 선택 모든 것은 적합한 저널 선택에서 시작합니다. 연구 내용이 저널의 범위와 맞지 않으면 데스크 리젝(desk rejec ...
에디티지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25년 정기학술대회’에 가다!
2025년 6월 25일부터 27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는 ‘Academy-Industry Convergence: Driving Future Innovations’ 라는 주제로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25년 정기학술대회 및 국제심포지엄(KMB 2025) 이 개최되었는데요. 이번에도 에디티지 는 연구자 여러분을 만나기 위해 부산으로 달려갔습니다!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는 1973년 한국산업미생물학회로 창립한 후 오늘날 미생물·생명공학 분야 ...
자기 표절(self-plagiarism)의 정의와 이를 피하는 방법
표절은 타인의 작업물을 자신의 것으로 주장하는 행위입니다. 학술 출판의 경우, 타인의 작업물이란 보통 타인이 작성한 글의 일부, 그림, 사진, 방정식 등이 해당하지요. 자기 표절(self-plagiarism)이란, 과거에 자신이 도출한 자료를 인지하지 못한 채 혹은 의도적으로 새로운 것이라며 다시금 주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기 표절 사례 예를 들어서, 과거에 개발한 실험 절차를 이미 논문에 기재하여 출판한 적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번 연 ...
과학적 시각화는 연구 영향력을 어떻게 높이는가
과학적 시각화(scientific visualization)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에서 지구를 관측하는 수십 대의 위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위성들은 기후 변화부터 기상 예보, 재난 관리, 자원 탐사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전송하죠. 이 위성들 중 두 대에는 중간 해상도 영상 분광계(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라는 장비가 탑재되어 있는데요. MODIS는 ...
예시로 알아보는 MLA 스타일 헤딩(heading)과 헤더(header) 작성법
MLA(Modern Language Association) 스타일 가이드라인은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표준화된 포맷팅(양식) 지침 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번 아티클에서는 MLA 스타일의 헤딩(heading)과 헤더(header) 작성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둘이 다르냐고요? 물론입니다! 헤딩과 헤더는 스타일 가이드라인에서 구분되는 서로 다른 요소입니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죠. MLA 스타일 헤딩 헤딩은 학술 논문에 포함되는 다양한 섹션, 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