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941 - 945 of 945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무료 핸드북 다운로드] 그래픽 초록, 어디부터 시작해서 어떻게 그려야 할까?

그래픽 초록은 연구의 핵심적인 요소와 결과를 시각적 형식으로 전달하여 독자가 연구의 본질을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 초록의 형태입니다. 요약의 기능은 물론, 주요 내용을 강조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하죠. 잘 만들어진 그래픽 초록은 연구와 독자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하면서 독자의 연구 이해도를 높일 뿐 아니라, 매일 수천 편씩 출판되는 논문의 바다 속에서 내 연구가 돋보일 수 있도록 도우며, 오늘날과 같은 디지털 시대에서 더 넓은 독자층에게 내 연구가 공유되는 ...

날짜: 2025년 07월 10일
Free Content
기사

자기 표절(self-plagiarism)의 정의와 이를 피하는 방법

표절은 타인의 작업물을 자신의 것으로 주장하는 행위입니다. 학술 출판의 경우, 타인의 작업물이란 보통 타인이 작성한 글의 일부, 그림, 사진, 방정식 등이 해당하지요. 자기 표절(self-plagiarism)이란, 과거에 자신이 도출한 자료를 인지하지 못한 채 혹은 의도적으로 새로운 것이라며 다시금 주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기 표절 사례 예를 들어서, 과거에 개발한 실험 절차를 이미 논문에 기재하여 출판한 적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번 연 ...

날짜: 2025년 07월 10일
Free Content
기사

과학적 시각화는 연구 영향력을 어떻게 높이는가

과학적 시각화(scientific visualization)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에서 지구를 관측하는 수십 대의 위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위성들은 기후 변화부터 기상 예보, 재난 관리, 자원 탐사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전송하죠. 이 위성들 중 두 대에는 중간 해상도 영상 분광계(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라는 장비가 탑재되어 있는데요. MODIS는 ...

날짜: 2025년 07월 10일
Free Content
기사

효과적인 동영상 초록 만드는 방법

그래픽 초록 은 이미 학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죠. 그렇다면 동영상 초록(비디오 초록)도 들어보신 적 있나요? 동영상 초록 역시 그래픽 초록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동영상 초록은 기본적으로 특정 주제에 관해 2~3분에 걸쳐 동영상으로 전달하는 형태인데요. 애니메이션, 모션 그래픽, 오디오 등을 활용해 최소한의 텍스트로 논문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 초록은 연구 논문의 전체 내용을 눈길을 사로잡 ...

날짜: 2025년 07월 17일
Free Content
기사

예시로 알아보는 MLA 스타일 헤딩(heading)과 헤더(header) 작성법

MLA(Modern Language Association) 스타일 가이드라인은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표준화된 포맷팅(양식) 지침 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번 아티클에서는 MLA 스타일의 헤딩(heading)과 헤더(header) 작성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둘이 다르냐고요? 물론입니다! 헤딩과 헤더는 스타일 가이드라인에서 구분되는 서로 다른 요소입니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죠.   MLA 스타일 헤딩 헤딩은 학술 논문에 포함되는 다양한 섹션, 하 ...

날짜: 2025년 07월 17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