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연구 논문의 서론(Introduction) 부분을 작성하는 4 단계 접근법
다른 사람들이 당신의 논문을 인용하기를 원한다면, 그들이 논문을 먼저 읽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논문 제목과 초록이 동료 연구자들이 논문을 보게끔 설득했다고 한다면, 다음은 서론 (Introduction) 에서 논문을 계속 읽게 만들어야 합니다. 연구 내용으로 독자를 끌어들이고, 논문의 다른 섹션 (방법, 결과, 고찰 및 결론) 으로 안내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논문의 서론에서 포함해야 하는 것과 제외해야 하는 것, 학술지 편집자 및 리뷰어가 논문의 서 ...
AI 시대, 포맷팅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인간과 AI는 공존 가능할 것인가?
영향력 높은 저널에 논문을 게재한 연구자들과 이야기해 보면 점점 더 많은 사람이 AI를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AI는 다음과 같이 출판 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문헌 검색 논문 요약 논문 개요 또는 초안 작성 이미지 생성 날이 갈수록 점점 더 많은 연구자가 문헌의 질의 보장과 가이드라인 준수를 위해 인간의 개입을 유지하면서도 AI 사용하는 것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문헌 작성 과정에서 양식 조정(포맷팅) ...
[에디터의 시선] 연구 논문에 대한 리뷰어 피드백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지난 아티클 ‘ [에디터의 시선] 논문 투고 비하인드- 저널에서는 어떤 과정으로 논문을 심사할까 ’와 ‘ [에디터의 시선] 저널에서는 무엇을 원할까? 저널 선택 시 주요 고려 사항 ’에서는 저널이 원고를 심사할 때 중심적으로 평가하는 부분과 심사 진행 과정을 살펴봤는데요. 그렇다면 리비전(revision, 수정) 요청을 받은 경우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이번 아티클에서는 리비전 과정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며, 리뷰어의 피드백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대응 ...
연구 논문에 그림 넣는 법 – 표와 그림,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까? (예시 포함)
연구 논문을 작성할 때 그림이나 표 같은 부분은 쉽게 넘어가기 쉬운데요. 사실 연구 논문에서도 시각적인 설득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논문에 표나 그림을 추가해 가독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대개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독자는 시각적 정보에 끌리는 경향을 보입니다. 따라서 길고 복잡한 글을 읽는 것보다는 시각적 자료를 보고 이해하기를 선호하죠. 이번 아티클에서는 시각적 정보를 늘리고 데이터에 대한 이해를 더 쉽게 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