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인터뷰] 시각적 요소와 콘텐츠로 의미 있는 대화 이끌어 내는 법
과학 커뮤니케이션은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는 기술입니다. 효과적인 언어로 흥미롭고 시의적절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시각적 요소를 훌륭히 활용하기 위한 팁을 듣기 위해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기술을 마스터한 과학 커뮤니케이터, 니콜라스 후바츠(Nicolas Hubacz) 와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과학 일러스트레이션과 그래픽 초록 은 저널 출판을 목표로 하든 비과학자 독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든, 논문을 돋보이게 하는 시각적 요소 중 일부일 뿐입니 ...
연구 논문 제목 작성법- 4단계로 완성하기!
연구 논문을 작성할 때 전체적인 구조에 관해서는 흔히 IMRAD 구조를 따르라고 하죠. Introduction: 서론 Methods: 방법론 Results: 결과 and Discussion: 토론점 물론 논문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들이죠. 하지만 초록이나 제목, 키워드와 같은 다른 요소의 중요성은 곧잘 간과하곤 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독자가 제일 먼저 접하는 것들로, 이 부분들을 확인한 후 나머지 논문을 읽을지 말지를 결정합니다. 에디터의 경우도 마찬가 ...
인포그래픽으로 보여준다면? 생물의학 연구에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제2형 당뇨병은 말초 조직에서 포도당 흡수 장애와 간에서의 포도당 생산 조절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인슐린 저항성, 상대적 인슐린 결핍,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대사 이상입니다.” 생물의학 분야 전문가는 이 문장을 완벽히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그 밖의 분야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이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게 참 어려운 부분이죠. 중요한 과학적 사실은 종종 어려운 전문 용어들이나 기술적 언어로 인해 접근하기 어렵습니다. 이렇듯 중요한 연 ...
논문 원고 가독성 향상을 위한 5가지 필수 전략
연구 논문을 작성하는 이유 중 하나는 많은 이가 해당 연구에 관한 내용, 그 결과를 접하길 바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대한 많은 사람이 내 논문을 읽어 보기를 원하죠. 그렇기에 독자 친화적인 원고를 작성해야 하는 것이고요. 독자 친화적인 원고, 즉 가독성이 높은 원고를 작성할 때는 아래의 다섯 가지를 꼭 기억하세요. 1. 원고를 체계적으로 작성합니다. 핵심적인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구성하고 써야 합니다. 2. 독자 ...
연구를 내러티브로 – 생물의학 연구에서 스토리텔링의 힘
2012년,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을 앓고 있던 7살짜리 소녀 에밀리 화이트헤드(Emily Whitehead) 는 수차례의 항암화학요법을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하고 남은 방법이 없는 상태였습니다. 에밀리과 가족은 실험적인 치료법인 CAR-T 세포 치료를 시도하겠다는 용감한 결정을 내렸죠. 에밀리는 해당 치료를 받은 최초의 어린이였습니다. 그리고 치료는 기적적으로 성공했습니다! 에밀리의 암은 관해되었고, 에밀리의 회복 사례는 많은 이에게 희망을 주었으며 대중 ...
타깃 저널 스타일에 맞춰 인용 및 참고문헌 포맷팅하는 법
한 저자가 거절된 자신의 논문과 함께 참고 문헌 스타일이 맞지 않다며 해당 논문을 바로 거절한 저널의 최신 호를 들고서 화가 나 찾아온 적이 있습니다. “ 여기 봐요! 둘 다 서식이 같잖아요!” 저자는 이렇게 말했지만, 저는 두 문서를 비교하며 저널의 경우 저자명 이니셜 사이를 온점과 스페이스를 이용해 구분하지만(Crick F. H. C.) 해당 논문의 경우 공백이 없으며(Crick FHC), 저널의 경우 각 참고문헌의 끝에 온점이 있지만 논문에는 없다 ...
과학적 시각화는 연구 영향력을 어떻게 높이는가
과학적 시각화(scientific visualization)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에서 지구를 관측하는 수십 대의 위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위성들은 기후 변화부터 기상 예보, 재난 관리, 자원 탐사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전송하죠. 이 위성들 중 두 대에는 중간 해상도 영상 분광계(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라는 장비가 탑재되어 있는데요. MODIS는 ...
예시로 알아보는 MLA 스타일 헤딩(heading)과 헤더(header) 작성법
MLA(Modern Language Association) 스타일 가이드라인은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표준화된 포맷팅(양식) 지침 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번 아티클에서는 MLA 스타일의 헤딩(heading)과 헤더(header) 작성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둘이 다르냐고요? 물론입니다! 헤딩과 헤더는 스타일 가이드라인에서 구분되는 서로 다른 요소입니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죠. MLA 스타일 헤딩 헤딩은 학술 논문에 포함되는 다양한 섹션, 하 ...
예시로 알아보는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의 차이점
이 문장 들어보신 적 있나요? ‘ 커피를 마시는 사람은 더 오래 사는 경향을 보인다.’ 커피를 즐기는 분들에게는 좋은 소식처럼 들릴 수 있지만, 이 문장은 결국 커피가 더 긴 수명으로 이어진다는 뜻인 걸까요?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바로 여기에서 상관관계(correlation) 와 인과관계(causation) 의 고전적인 논의가 시작됩니다. 우리는 두 가지 사건이 함께 발생하면 한 사건이 다른 사건을 일으켰다고 잘못 가정하곤 합니다. 그러나 인과관계와 ...
[생물의학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 빈도주의 통계 vs. 베이지안 통계, 무엇을 선택할까?
넘쳐 나는 통계 방식 중, 생물의학 연구자 여러분은 전통적인 빈도주의(frequentist) 통계와 점차 인기를 얻고 있는 베이지안(Bayesian) 통계 사이에서 고민 하게 되는 일이 빈번하죠. 연구자님의 연구 주제에 맞는 접근 방법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두 통계 방법론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기본 개념부터 이해해 봅시다 빈도주의 통계 빈도주의 통계는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전통적인 방법론으로, 확률과 p값 의 개념에 의존합니다. 이는 마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