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최신기사

에디티지 인사이트에 등록하시고 전문가의 맞춤 컨설팅을 받아보세요!
Free
Q&A 포럼
By 에디티지 인사이트 | 2016년 05월 17일
주제 저널출판전략 | 조회수 32,876
안녕하세요. 저는 병리학 전공의입니다. 제 상사로부터 sign-out 사례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연구하라는 요청을 받았는데요. 이 사례를 어떻게 제시해야 할지 난감합니다. 제 상사가 저에게 원하는 것은 이 접근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며 그래서 저의 주요 목표는 (제 상사의 말에 따르면) 접근 방법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어떤 종류의 연구를... 자세히보기
Free
Q&A 포럼
By Anonymous | 2016년 05월 16일
주제 투고 및 피어리뷰, 투고 후 | 조회수 23,013
2015년 4월 30일에 투고하고, 2016년 5월 2일에 1년이 지나서 논문심사 최종결과가 reject가 떴습니다. Decision letter의 심사내용을 살펴보면, critical issue가 아니고 수정보완 가능한 내용들입니다. 따라서 최종결정이 minor revision and resubmit나 major revision and resubmit이... 자세히보기
Free
Q&A 포럼
By Anonymous | 2016년 05월 16일
주제 투고 및 피어리뷰 | 조회수 13,841
논문 투고 후 리뷰를 받았습니다. 두명의 리뷰어가 모두 리비전 의견을 냈습니다. 그런데 두 번째 리뷰어가 제출한 논문에서 전혀 사용하지 않은 method를 사용했다고 summary를 써 놓았습니다. 심지어 논문에서 언급조차 되지 않은 method입니다. 다만 두번째 리뷰어의 comment들은 제출한 논문과 관련되어있어 보입니다. 그러나 이 역시도 동일한... 자세히보기
Free
기사
By Wolters Kluwer | 2016년 05월 12일
주제 투고 및 피어리뷰 | 조회수 23,119
평점: 1.3
피어리뷰의 중요성 및 리뷰를 잘 하는 방법
피어 리뷰는 연구 주제나 때로 적용된 방법론에 대해 전문 지식이 있는 학자(동료)가 연구를 평가하는 (또는 심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글의 초점이 되기도 하는 피어 리뷰의 목적은 출판된 문헌의 가능한 최고 수준을 보장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리뷰어는 연구가 질적으로 보급될 만한 가치가 있는지 판단하는 일종의 배심원과 같은 임무를 수행합니다.
Free
기사
By 스네하 쿨카니 | 2016년 05월 10일
주제 경력개발 | 조회수 15,442
평점: 1.5
[포스닥 경력개발 시리즈] 미국 및 그 외 국가  박사과정 졸업자의 취업 결정 관련 조사 살펴보기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에서 최근 발표한 보고서는 미국 내 과학, 공학, 의료 분야의 미국 시민권을 가진 박사과정 졸업자 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조사 보고서의 흥미로운 점은 졸업 후 미국에 남고자 하는 졸업자 수, 이러한 결정의 근거, 취업자의 근무 조건 등에 대한 조사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 조사의 몇 가지 결과물을 통해 최근 미국... 자세히보기
Free
Q&A 포럼
By Anonymous | 2016년 05월 10일
주제 투고 및 피어리뷰, 저널출판전략 | 조회수 48,441
제가 투고한 논문이 editor invited 상태로 2주 정도 있다가 status 날짜가 변경되면서 다시 editor invited상태입니다. 적절한 editor를 찾지 못한 거 같은데 1) 이런 경우 Chief in editor가 할당한 editor를 찾지 못했다고 봐도 되는 건가요? 2) 이 논문 첫 decision이 30~35 일인데, 이 상태(... 자세히보기
Free
Q&A 포럼
By 에디티지 인사이트 | 2016년 05월 04일
주제 저널출판전략 | 조회수 23,446
국제 저널에 처음으로 논문을 투고하려고 준비 중입니다. 제 논문은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이며 엘스비어(Elsevier) 저널 탐색 도구를 사용했더니 제 논문의 제목과 초록에 맞는 10개 저널이 추천되었습니다. 그 중 임팩트 팩터가 2.6이고 리뷰논문만 받는 한 저널에 게재율이 100%라는 언급이 있습니다. 투고 논문 100%가... 자세히보기
Free
Q&A 포럼
By 에디티지 인사이트 | 2016년 05월 02일
주제 저널출판전략 | 조회수 42,219
제 전문 분야는 생체역학, 균형 및 근전도입니다. 이 분야 최고 저널들과 임팩트 팩터 순위가 높은 저널들을 어떻게 알아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읽어본 제 연구 분야 논문들을 검토하여 확인하는 수밖에 없을까요? 핵심 저널들을 찾을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나요?
Free
기사
By 카콜리 마줌더 | 2016년 04월 29일
주제 경력개발 | 조회수 20,344
평점: 3.7
[펠로우십/박사후연구원] 성공적인 학계 구직을 위한 8가지 팁
학계에서 평생직장을 찾아 정착하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학계에서 일자리를 찾고 있는 이들이 좀 더 자신감을 느끼고 구직 과정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몇 가지 팁을 통해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Free
Q&A 포럼
By 에디티지 인사이트 | 2016년 04월 28일
주제 출판윤리 | 조회수 16,884
저는 수의학 분야 연구자입니다. 논문을 투고하려는 저널에서 다음과 같은 문구를 발견하였습니다. 개인 소유의 동물이 연구에 사용된 경우 높은 수준의 수의학적 관리가 이루어졌음을 입증해야 하며 동물 소유주의 고지된 동의(informed consent)를 받아야 합니다. 고지된 동의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은 저도 이해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못 알아본다... 자세히보기

Pages

에디티지 서비스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