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최신기사
Free
기사
2015년 11월 05일
의견 0
소제목을 적절하게 구성하고 일관성 있게 배치하면 독자들이 논문을 훑어볼 때 전체적인 내용을 대략 파악하기가 더 쉽습니다. 소제목을 잘 쓰는 법, 바로 확인해보세요!
Free
Q&A 포럼
2015년 10월 28일
사회과학이나 인문과학 분야의 논문을 쓸 때 초록 작성 방법이 알고 싶습니다. 초록 구성에 대해 찾아보면 주로 사회과학, 인문과학이 아닌 의학, 공학 분야의 도움말만 찾을 수 있는데 인문 분야 초록에 관한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Free
기사
2015년 10월 26일
노벨상은 가장 명망 높은 과학상이자 많은 젊은 과학자들에게는 그들이 꿈꾸는 성공의 집약체이기도 합니다. 젊은 과학자에게 노벨상 수상자는 먼 곳에서 바라볼 수밖에 없는 존재로 느껴집니다. 만약 노벨상 수상자들을 만날 기회뿐 아니라, 그들과 커피 한 잔을 나누며 연구에 대한 생각들을 나눌 기회가 주어진다면 어떨까요?
Free
기사
2015년 10월 23일
신진 연구자의 경우 자신의 논문을 출판하고 연구에 대해 알리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런점에서 오픈액세스 출판은 최대의 노출로 연구자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오픈 액세스는 정확히 무엇일까요?
Free
기사
2015년 10월 22일
<Science Research Writing>은 현장에서 쓰인 책입니다. 저자는 과학 전공 학생들에게 30년 이상 학술적인 목적의 영어를 가르쳤으며, 특히 지난 15년은 런던 Imperial College의 English Language Support Program에서 논문을 작성하는 학생, 교원과 밀접한 1:1 수업을 통해 경험을 쌓았습니다.
Free
기사
2015년 10월 19일
연구 논문에서 표(table)는 행과 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행과 열마다 그 안에 담긴 내용에 대해 특정한 정보를 주는 소제목(heading)이 달려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행과 열의 소제목이 표 제목을 부연할 수 있도록 작성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Free
기사
2015년 10월 14일
앞서 다룬 노벨상 인포그래픽에서는 노벨상의 역사를 보여드리고, 수상자들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을 공유하고, 특별한 수상자 몇몇을 다루었습니다. 마지막 인포그래픽을 통해 노벨상 후보 선정, 상금, 노벨상 시상식에 대한 더 많은 뒷이야기를 알려드립니다.
Free
기사
2015년 10월 14일
10월 12일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2015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로 “소비, 빈곤, 복지 분석”이라는 공로를 남긴 앵거스 디턴 (Angus Deaton) 교수를 선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Free
기사
2015년 10월 12일
영문 교정 및 출판 지원 서비스를 선도하는 에디티지가 Public Knowledge Project (PKP)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에디티지는 PKP가 만든 Open Journal Systems (OJS) 사용자를 대상으로 교정 및 저널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게 됩니다.
Free
기사
2015년 10월 12일
2015년 노벨 문학상의 주인공은 “우리 시대의 고통과 용기의 기념비인 다성적(polyphonic) 작품을 남긴” 벨라루스 출신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Svetlana Alexievich) 에게 돌아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