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u are here
저널에서 출판을 꺼리는 논문의 대표적인 유형은 반복연구(replication studies)와 부정적인 연구결과( negative results)의 내용이 담긴 논문일 것입니다. 이 두 유형에 대해 이번 슬라이드를 통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PPT 자료는 [여기]를 통해 무료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에디 박사님, 라이선스 협약(license agreement)와 저작권 양도계약 (copyright transfer agreement)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아직 (Wiley 출판사로부터) 교정쇄를 받지 못했는데, 라이선스 협약서에 서명을 하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라이선스 협약이 표준계약인가요?
일부 저널에서는 두 명의 교신저자를 허용하지만 대부분의 저널은 그렇지 않습니다. 하지만 저자 가이드라인에 교신저자의 허용인원까지 명시해 두는 저널은 많지 않습니다. 논문에 교신저자가 한 명 이상인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저널에 프리 서브미션을 보내고 싶습니다. 그런데, 이메일을 어떻게 써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어떤 내용이 들어가야 할까요? 또 투고 전 문의사항을 남길 수 있는 이메일이 편집장의 이메일 주소가 아닙니다. 편집장에게도 같은 이메일을 보내야 할까요? 그리고 이메일에 제 논문과 커버레터도 첨부해야 합니까?
- Anonymous
- 2015년8월3일
- 조회수 56,584
한 저자 (저자 A)가 저널에 논문을 제출했습니다. 논문은 승인되어 저널의 1월호에 출판되었습니다. 저자는 저널의 1월호와 2월호를 무료로 받아 보게 된다는 안내를 받았습니다. 2월호를 받은 저자는 깜짝 놀랐는데, 자신이 쓰지 않은 논문에 저자로 이름이 올라 있었던 것입니다. 논문의 실제 저자 (저자 B)는 자신의 논문이 도용을 당했다고 생각하고 저널 측에 항의했습니다. 동시에 저자 B는 이 문제를 소셜 미디어에 공개하고 저자 A에게 표절 혐의를 제기했습니다.
임상사례보고서는 의학 커뮤니케이션의 가장 초기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임상 사례 보고서 또는 사례연구는 임상 실무에서 얻은 새로운 지식을 전파하는 수단입니다. 이 기사를 통해 임상사례 보고서 작성법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발도상국의 저자가 에디티지에 연락을 해왔습니다. 저자는 보건 분야의 논문을 집필했는데, 논문은 다양한 종류의 간호에 따른 환자들의 반응에 기반하며 의료적인 개입은 다루지 않는 관찰연구(observational study)였습니다.
저널 측에서 논문을 투고할 때 Authorship contribution statement에 대한 기술서를 요청했습니다. 그러나 저널 웹사이트에서는 이를 위한 양식이나 지침이 따로 나와 있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Authorship contribution statement에 들어가야 하는 요소들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Anonymous
- 2015년6월5일
- 조회수 198,572
저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해 서로 다른 재료를 비교하는 논문 두 편을 투고할 예정입니다. 논문의 재료 및 방법 항목은 거의 같습니다. 아직 출판되지 않은 논문이기에, 표절 검사 소프트웨어로는 표절을 탐지할 수 없을 것입니다. 추후에 각기 다른 저널에서 재료 및 방법 항목의 내용이 같은 논문 두 편이 출판되면 이는 표절로 간주되나요?
- Anonymous
- 2015년5월26일
- 조회수 50,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