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에디티지 인사이트에 등록하시고 맞춤화된
저널 투고 지원 서비스
를 누려보세요.
읽음
2015년 4월 30일에 투고하고, 2016년 5월 2일에 1년이 지나서 논문심사 최종결과가 reject가 떴습니다. Decision letter의 심사내용을 살펴보면, critical issue가 아니고 수정보완 가능한 내용들입니다. 따라서 최종결정이 minor revision and resubmit나 major revision and resubmit이 아닌 바로 reject를 받은 사유가 궁금해서 관련 문의 이메일을 보내고자 하는데 괜찮을지 궁금합니다. 또한 이런 이메일을 보내서 최종결과가 번복되는 사례도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Anonymous
  • 2016년5월16일
  • 조회수 23,013
읽음
논문 투고 후 리뷰를 받았습니다. 두명의 리뷰어가 모두 리비전 의견을 냈습니다. 그런데 두 번째 리뷰어가 제출한 논문에서 전혀 사용하지 않은 method를 사용했다고 summary를 써 놓았습니다. 심지어 논문에서 언급조차 되지 않은 method입니다. 다만 두번째 리뷰어의 comment들은 제출한 논문과 관련되어있어 보입니다. 그러나 이 역시도 동일한 주제의 논문이라면 다른 논문에도 적용이 가능해 보입니다. 현재는 모든 comment에 따른 response를 모두 준비하여 다시 저널에 제출했고 현재 리뷰 프로세스가 진행중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하는 것이 옳은 대처방법일까요?
  • Anonymous
  • 2016년5월16일
  • 조회수 13,841
피어리뷰의 중요성 및 리뷰를 잘 하는 방법
읽음
피어 리뷰는 연구 주제나 때로 적용된 방법론에 대해 전문 지식이 있는 학자(동료)가 연구를 평가하는 (또는 심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글의 초점이 되기도 하는 피어 리뷰의 목적은 출판된 문헌의 가능한 최고 수준을 보장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리뷰어는 연구가 질적으로 보급될 만한 가치가 있는지 판단하는 일종의 배심원과 같은 임무를 수행합니다.
읽음
제가 투고한 논문이 editor invited 상태로 2주 정도 있다가 status 날짜가 변경되면서 다시 editor invited상태입니다. 적절한 editor를 찾지 못한 거 같은데 1) 이런 경우 Chief in editor가 할당한 editor를 찾지 못했다고 봐도 되는 건가요? 2) 이 논문 첫 decision이 30~35 일인데, 이 상태(Editor invited )를 어느 정도 기간까지 정상 process라고 여겨도 되는 걸까요 3) 이런 경우 경험상 어떤 결과를 예상할 수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 Anonymous
  • 2016년5월10일
  • 조회수 48,441
피어 리뷰 후 편집위원의 의견 수립 과정
읽음
내가 투고한 원고는 피어 리뷰 이후, 편집자 의사결정에 이르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치게 될까요? 저널 편집자에게 직접 들어봅시다!
읽음
저널에 첫 번째 투고한 논문이 게재 불가 판정을 받았습니다. 저널은 심사 의견에 따라 논문을 수정한 후 재투고할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재투고 후 논문 상태는 빠르게 “리뷰 중”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그리고 한 달 뒤 “편집위원 권고 대기 중(Awaiting AE Recommendation)”으로 상태가 변경되었고 그 후로 3주가 지났습니다. 게재 결과를 받으려면 얼마나 기다려야 할까요?
[사례연구] 효과적 초록 작성의 필요성 (논문컨설팅)
읽음
커버레터와 초록은 투고 패키지에서 필수적인 부분이며 저널 측에서 편집위원의 최초 선별 단계를 통과하는데 결정적인 요소입니다. 커버레터와 초록은 저널 편집위원이 가장 먼저 읽는 부분이며 이를 기반으로 논문에 대한 인상이 결정됩니다.
읽음
ScholarOne Manuscripts를 통해 원고를 투고했습니다 그런데 불과 1주만에 리뷰가 끝나고 지금은 “최종 결정 대기 중” 이라는 상태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리뷰가 이렇게 빨리 끝났다면 논문 거절을 예상해야 하는 걸까요?
읽음
제 논문이 상당한 수정을 거치는 조건으로 승인(Accept with Major Revision) 결정을 받았고, 지금 수정 중입니다. 그런데 수정 과정에서 리뷰어가 언급하지 않은 다른 과학적 오류들을 발견했습니다. 토론, 결론 항목에는 바뀐 사항이 없지만, 이런 문제들 때문에 제 논문을 철회해야 할지 고민입니다. 아니면 제가 찾아낸 오류를 수정했음을 자세히 설명하고 이 저널에 논문 수정본을 제출해도 되는 걸까요?
읽음
피어 리뷰 의견을 받아 보니 제 논문이 단어 수 제한을 초과했다고 합니다. (단어 수 제한은 55,000단어인데 제 논문은 67,000단어입니다.) 저널의 저자 안내사항을 보니 단어 수를 초과한 논문의 경우 개개의 사례에 따라 고려한다고 적혀 있었습니다. 저널 편집자에게 제 논문 출판을 고려해달라는 부탁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