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에디터 인터뷰 2] 저널 리뷰어에게 좋은 인상을 주는 방법은?](https://www.editage.co.kr/insights/sites/default/files/media-youtube/XCCCW9d2gZs.jpg)
You are here
사례: 한 저자의 원고가 피어 리뷰를 받았고 두 명의 리뷰어와 편집위원장으로부터 코멘트를 받았습니다. 에디터의 제안은 한 가지였고 그는 저자에게 참고문헌을 몇 개 원고에 포함해달라고 했습니다. 에디터는 실제로 저자가 인용해주기를 바라는 논문 목록을 제공했습니다. 반면 리뷰어들은 문헌 검토에 대한 제안을 거의 하지 않았고 에디터가 준 논문들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논문 목록을 살펴본 저자는 에디터가 제안한 모든 논문이 동일 저널의 이전 호에 게재된 논문들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더군다나 그 중 대부분은 그의 연구와 관련이 없었습니다. 저자는 에디터가 왜 이런 제안을 했는지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자기 논문에 거짓 참고문헌을 넣고 싶지는 않고 동시에 게재 기회도 망치고 싶지 않았던 저자는 에디터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어떻게 답변해야 할지 몰라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조언을 구했습니다.
엘스비어에 임상논문을 하나 투고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제가 처음해봐서 이런저런 문의를 드렸더니https://service.elsevier.com/app/contact/supporthub/publishing/ 이 사이트에 들어가서 등록을 하면 된다는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이 사이트에 첨부파일용량은 20M가 최대치입니다. 제 논문은 200M가 넘습니다. 이경우는 요약된 논문을 보내는 것인지요? 상세한 부가적 설명이 없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미리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 Anonymous
- 2017년8월25일
- 조회수 3,358
대부분 저널은 게재를 목적으로 투고되는 각 원고에 커버레터를 함께 제출하도록 요구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커버레터가 가진 실제 영향력을 알고 있는 저자는 많지 않습니다. 커버레터는 저널 에디터와 소통하고 이들의 관심을 투고 원고에 돌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저널 편집장 Bruce Dancik 박사가 비영어권 저자가 저널 에디터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원고 제출 시 유의해야할 점을 이야기 합니다. 훌륭한 커버레터나 명확히 작성된 원고와 같은 특정 핵심 요소가 저널 투고에 어떠한 역할을 할까요?
* 이 영상은 캑터스 커뮤니케이션즈의 에디티지 미국 지사장 Donald Samulack과 Bruce P. Dancik 박사(NRC Research Press/Canadian Science Publishing 편집장, 앨버타대학교 재생가능자원학과 명예교수)가 2011년 4월 29일부터 5월 3일까지 메릴랜드 볼티모어에서 개최된 제54회 과학편집인협의회(Council of Science Editors) 연례회의에서 나눈 인터뷰 시리즈의 일부입니다.
저자와의 교신은 에디터의 일상 업무 중 중요한 활동입니다. 정보와 아이디어의 교환은 투고 이전 단계에서 게재 승인 논문의 제작과 출판에 이르는 출판 과정을 더욱 순조롭게 만들 수 있습니다. 에디터와의 교신은 불확실한 부분을 해소하고 게재 검토 중이거나 게재가 승인된 논문 또는 저작에 대한 필수 정보를 제공할 기회를 만들어 줍니다. 이 글에서는 논문을 출판하고자 할 때 에디터와 효율적이고 명확한 대화를 나누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교신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 Susan J. Henly
- 2017년8월7일
- 조회수 30,975
신진 연구자에게 학술 출판의 세계는 다소 힘들고 복잡하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런 어려움을 겪는 연구자분들에게 에디티지 인사이트가 논문투고부터 저널 출판 단계까지 한눈에 알아보실 수 있도록 인포그래픽을 준비하였습니다. 출판계의 전형적인 절차 뿐만 아니라 새로운 출판 모델이 시스템 혁신을 위해 어떤 출판 절차를 도입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 제야슈리 라자고팔란
- 2017년7월21일
- 조회수 14,664
어제 "major revision"을 받은 논문을 수정하여 저널에 제출하였습니다. 오늘 논문 상태가 "Decision in progress"로 변경되었습니다. 제 경험으로는 논문 상태가 우선 "Under review"로 바뀌고 몇 주 후 "Decision in progress"가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나요? 저희는 요구된 실험의 90%를 완료했다고 생각하고 리뷰어의 모든 질문에도 답변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Anonymous
- 2017년7월5일
- 조회수 22,535
저널에서 명시한 기한 전에 상당한 수정(major revision)을 거친 논문을 재투고했습니다. 답변을 기다리는 중인데, 저널 측에 연락해서 리뷰 과정을 신속히 해달라고 요청했더니 다음과 같은 답변을 받았습니다. “안타깝게도 이 논문은 아직 또 다른 편집자의 검토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최종 답변을 받는 대로 연락 드리겠습니다.” ("Unfortunately, the manuscript still needs to be assessed by another editor. I will contact you with the final decision once received.") 이 답변은 무슨 의미입니까? 혹시 제 논문에 무슨 문제가 있는 걸까요? 아니면 이 저널에서 일반적으로 따르는 내부 절차일까요?
- Anonymous
- 2017년6월12일
- 조회수 13,198
투고한 저널에서 3차 리뷰가 끝나고 또 다시 대폭 수정(major revision) 요청을 받았습니다. 한 리뷰어는 수정본에 매우 만족했지만 또 다른 리뷰어의 반응은 그와 반대였습니다. 이 리뷰어는 가설을 시험하기 위해 또 다른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자격 있는 참가자를 찾을 방법이 없어 이는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저희는 다른 이전 연구들을 따라 다른 방식으로 시험을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이 리뷰어는 이전 연구들에서 이 방법이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접근법에 동의하지 않고 있습니다. 에디터에게 리뷰어를 교체해달라고 요청해야 할까요? 아니면 이에 대한 다른 해결책이 있을까요?
제 연구 논문을 엘스비어(Elsevier)의 ≪Journal of Radiation Research and Applied Sciences≫에 냈습니다. 이 저널의 임팩트 팩터를 찾으려고 수없이 검색해봤지만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저널에 IF가 없어도 신뢰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신뢰할 수 있는 저널이 아니라면 투고를 취소할 수 있나요?